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figma
- Weirdsector
- 개발일지
- 피그마
- 프론트엔드
- socialmedia
- 디자이너
- 구글애널리틱스4
- 프리토타이핑
- 데이터분석
- 구글애즈
- UX
- 그로스해커
- growthhacking
- 개발자인터뷰
- Datanugget
- 개발공부
- 위어드섹터
- JavaScript
- 마케팅
- Pretotyping
- 개발스터디
- GA4
- LABBIT
- 프론트엔드개발자
- 그로스해킹
- 구글애널리틱스
- 데이터너겟
- 인터뷰
- 개발자
- Today
- Total
목록구글애널리틱스 (5)
위어드섹터 공식 블로그

안녕하세요. 위어드섹터의 이상한 연구소 래빗입니다. 래빗은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고자 하는 여러 기업들의 환경 설정부터 실제 분석까지 함께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우리 웹사이트에 유입된 ‘사용자 수’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Google에서 집계하는 사용자 수는 과연 정확할까요? 1. GA4의 여러 가지 사용자 수 탐색보고서의 활성 사용자 수 탐색보고서의 ‘기기 카테고리’ 측정기준과 함께 본 활성 사용자 수 같은 기간( 7일) 동안 ‘기기 카테고리’ 측정기준을 넣어서 본 사용자와 그렇지 않은 사용자 수를 비교했을 때 약 82000명과 85000명이라는 3000명 정도의 차이가 났습니다. 이 이유는 무엇일까요? 2. 사용자 수가 서로 차이 났던 이유 사용자 1명..

안녕하세요. 위어드섹터의 이상한 연구소 래빗입니다. 래빗은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고자 하는 여러 기업들의 환경 설정부터 실제 분석까지 함께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운영하는 사용자가 궁금해하는 데이터 지표 항목과 해당 항목을 어떻게 GA4에서 볼 수 있는지, 이 콘텐츠만 확인하면 AtoZ 까지 해결하실 수 있도록 해드리겠습니다:) 보고 싶은 항목 1. 구매 퍼널 GA4의 탐색보고서에서는 ‘유입경로 보고서’로 생성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항목에서 연필 아이콘을 클릭하여 단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유입경로는 각 단계에서 보고자 하는 이벤트 수 혹은 페이지 경로를 넣고 우측 ‘요약’ 카드에서 해당 단계까지의 사용자 수가 얼마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완성 시 아래와 같이..

안녕하세요. 위어드섹터의 이상한 연구소 래빗입니다. 래빗은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고자 하는 여러 기업들의 환경 설정부터 실제 분석까지 함께하고 있는데요. :) GA4의 용어를 특히 많이 어려워하시는 것 같더라고요 아무래도 그동안 익숙하던 UA와 비교해서 수집기준도 많이 바뀌었고,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면서 모호한 부분이 생긴 게 아닌가 싶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활성사용자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활성사용자? 그게 뭔데? 구글 공식문서에서 보면 GA4에서 처음 도입 된 사용자 기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GA4가 실제로 중요한 사용자로 간주하는 사용자’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화장품 매장을 운영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한 손님이 매장 문을 열다가 바로 닫고..

안녕하세요. 래빗 그로스해킹팀입니다. 여러분은 데이터, 중요하다는 것은 알겠는데 어디서부터 무엇을 봐야 할지 막연하게 느껴지지 않으셨나요? 데이터를 조금 더 쉽게 보면 좋을텐데 말이죠. 데이터 시각화는 그런 여러분과 우리의 고민을 해결해 주는 열쇠가 될 것 같아요. 데이터 시각화란 무엇일까요? 데이터 시각화는 정보를 지도나 그래프와 같은 시각적 맥락이 있는 형태로 만들어 인간의 뇌가 데이터를 더 쉽게 이해하고 통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시각화를 하는 주요 목표는 대규모 데이터(빅데이터)에서 패턴, 추세, 이상값을 쉽게 식별하기 위함입니다. 뇌는 글보다 그림을 좋아하니까요 :) 러시아 전역에서 프랑스군의 손실을 보여주었던 인포그래픽 : 시각적 맥락이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 이미지 하나로 추이..

GA를 처음 공부할 때 가장 먼저 배운건 세션의 개념입니다. 먼저 세션(session)이란 단어를 사전에 찾아보면 ‘기간’, ‘시간’이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1. GA에서 세션은 뭐야?? : 사이트에 들어온 사용자가 접속한 시점부터 이탈까지 상호작용한 시간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사용자A가 페이지를 이것 저것 클릭해 보거나, 물건을 사거나 등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데 이 사이트를 닫기 전까지의 기간을 하나의 세션으로 보게 됩니다. 사용자가 페이지에 들어와서 행동이 없을 때 -> 세션 X 사용자가 페이지에 들어와서 행동이 있을 때 -> 세션 O 2. 그럼 방문수랑 뭐가 다를까요? GA문서에 따르면 이 둘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나와있습니다. : 방문수는 세션의 첫 번째 페이지뷰 또는 화면 조회와 함께 누적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