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구글애널리틱스
- UX
- 구글애널리틱스4
- 그로스해킹
- 그로스해커
- 프론트엔드개발자
- 개발자인터뷰
- JavaScript
- 디자이너
- figma
- Datanugget
- 개발스터디
- 인터뷰
- 개발공부
- 데이터너겟
- Weirdsector
- 프론트엔드
- Pretotyping
- 마케팅
- 개발자
- 프리토타이핑
- GA4
- 구글애즈
- LABBIT
- 피그마
- growthhacking
- 데이터분석
- socialmedia
- 위어드섹터
- 개발일지
- Today
- Total
위어드섹터 공식 블로그
소셜미디어에서 효과적인 콘텐츠 유형 '따라잡기'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콘텐츠 감각 두 스푼!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셜미디어에서 효과적인 콘테츠 유형 찾아보는 법’을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소셜미디어에서 가장 고민되는 것은 콘텐츠!
하지만 콘텐츠 유형을 알고 생성한다면 이전과 다른 결과를 볼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강력한 메시지를 만드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콘텐츠의 핵심은 스토리!
우리가 소셜미디어에서 마음을 움직이는 콘텐츠를 보면, 대부분 그 안에는 스토리가 담겨 있어요.
스토리텔링은 정보를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과 경험을 담아 사용자와 연결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오늘 운동했다”라는 말보다 “처음엔 너무 하기 싫었지만, 10분만 하자며 시작한 운동이 결국 40분이나 됐고, 끝나고 나니 뿌듯했다”는 이야기가 훨씬 더 공감대를 맞춰갈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스토리텔링 그냥 이야기 대충 쓰면 되는 건가요?
스토리텔링을 단순하게 생각하면, 이야기를 쓰는 것 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이야기를 쓰는 것은 그저 이야기에 불과합니다. 우리가 생성하려는 콘텐츠를 위한 스토리텔링에는 생각해야 될 것이 몇가지 있습니다.
먼저 What to Say와 How to Say를 소개 하겠습니다.
- What to say
말 그대로 “무엇을 말할 것인가?” 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고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또는 공감대를 형성할 메시지를 정하는 단계 입니다.
보통은 카피라이팅 작업이라고도 합니다.
즉, 한 줄의 메시지를 통해 고객의 마음을 자극할 수 있다면
그 메시지는 성공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How to say
마찬가지로 “어떻게 말할 것인가?” 입니다.
고객에게 우리의 메시지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지를 정하는 단계입니다.
소비자에게 얼마나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작업입니다.
즉, 어떤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접근하여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의 핏을 맞추는 것이 핵심입니다.
▶ 핵심 포인트
소비자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메시지를 정하고(What to say), 이 메시지를 어떤 방법으로 전달할 것인지(How to say)를 생각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스토리텔링 어떻게 쓰고 어떻게 전달해야 할까?
1) 순차적 스토리텔링
What to say
-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나의 모습, 경험, 생각
- ‘시작부터 끝까지’ 보여줄 수 있는 이야기
"아침부터 꼬인 하루, 그래서 마지막엔 이걸로 웃었어요."
How to say
- 시간 순서대로 차근차근 전개
(ex: Before → 과정 → After) - 영상이나 글에서 도입부에 공감을 끌어낸 뒤,
결말에서 반전이나 감동을 주는 방식
2) 비순차적 스토리텔링
What to say
- 핵심 메시지, 임팩트 있는 장면, 감정이 담긴 순간
- 한 장면만으로도 이야기 전체가 느껴지는 순간
"이 표정을 짓기까지, 오늘 하루가 어땠을까요?"
How to say
- 결론부터 먼저 보여주고 이유를 나중에 설명
- 감정을 전면에 내세운 짧고 강한 콘텐츠
▶ 정리하자면…
방식 | 콘텐츠 유형 | What to say | How to say | |
순차적 | 브이로그 | 일상의 흐름, 느낀 감정, 소소한 생활 변화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전개 | |
프로젝트 후기 콘텐츠 | 기획 → 실행 → 결과, 시행착오 | 단계별 구성으로 변화 강조 | ||
비포/에프터 콘텐츠 | 변화의 포인트, 전과 후 비교 | 시각적 변화로 임팩트 주기 좋음 | ||
비순차적 | 숏폼/리얼스 영상 | 임팩트 있는 순간, 결론 먼저 | 강렬한 장면부터 컷 편집 | |
감정 중심의 이미지 콘텐츠 | 감정이 담긴 순간, 공감 메시지 | 표정 + 자막 + 짧은 설명으로 표현 | ||
카드뉴스/인사이트 요약 | 명언, 팁, 생각할 거리 | 핵심 문장 → 이유나 배경 설명 |

오늘은 소셜미디어 콘텐츠에서 가장 중요한 스토리텔링을 쓰기 위한 방향
What to say와 How to say의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스토리텔링은 그저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공감과 설득을 만들어내는 기술입니다.
‘메시지 하나로 상대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이 이번 시간의 핵심 포인트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유익한 소셜 마케팅으로 만나요~!
그럼, 오늘은 콘텐츠 감각 장착하고!! 다음에 만나요.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 어렵다면?
'Growth Hacking >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셜미디어 전략, 남들과 다르게 ‘따라하기’ (0) | 2025.04.03 |
---|---|
알고 따라하면 효과가 두 배! 소셜 미디어 마케팅 따라하기 (1) | 2025.03.26 |
지금 당장 해보는 소셜미디어 마케팅 따라하기 (0) | 2025.03.19 |
가벼운 프리토타이핑으로 나만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0) | 2025.03.12 |
"호박에 줄만 그었을 뿐인데... 시장에서 반응이?" (0) | 2025.03.05 |